작곡가 컬렉션

박동욱 (朴東旭)

출생년도
1935년
수정일
2023-02-01 08:11:50

주요약력

1. 인적사항
∙ 성              명 | 박동욱(朴東旭 / Park, Dong-wook)
∙ 생 년 월 일 | 1935년 1월 22일 
 
2. 수련과정 
∙ 1954                    해군 군악학교 졸업
∙ 1969                      미국 뉴욕 메네스 음악대학 졸업 
∙ 1971                      미국 뉴욕 필하모닉오케스트라 주관 오케스트라 인스티튜트 수료 
∙ 1988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 주최 지휘자 인스티튜트 수료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 하기학교 지휘과정 수료
∙ 1987-1989       미국 보스톤 로얄대학 대학원 지휘과 수료 
 
3. 일반 / 수상경력
1) 일반
∙ 1967-1973   미국 뉴욕 휜치대학교 무용과 강사
∙ 1968                미국 펜실베니아 웨스트민스터 대학 하기학교 강사
∙ 1969-1973   미국 뉴욕 메네스음악대학 강사
∙ 1969-1973   미국 코네티커트 브리지포드 대학 강사
∙ 1973-1981   국립교향악단 수석팀파니스트
∙ 1973-1986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연세대학교 음악대학강사
∙ 1981-1988   한국타악인회 음악캠프주관
∙ 1984-1986   세계타악인예술협회(Percussive Arts Society) 국제이사
∙ 1989-1995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강사
∙ 1989-1997   추계예술대학교 강사
∙ 1993                  대전엑스포 `93 세계 북잔치 자문위원(연출지도), (한국방송공사위촉)
∙ 2000-2001   국민대학교 음악대학 강사 역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겸임교수 역임
∙ 2001                  Seoul Drum Festival 2001 자문위원
∙ 2002                  Seoul Drum Festival 2002 자문위원
∙ 2005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강사 역임
∙ 2006                  사천 국제 타악기 음악제 ‘박동욱상’제정, 콩쿨심사위원장
∙ 2006                  사천 국제타악기음악제에서 ‘한국타악기음악의 발자취’발표
∙ 2007                  단국대학교 대학원 강사
2) 수상
∙ 1984   “올해의 음악가 상” 수상 (한국음악협회)
∙ 1993   “국민음악상” 수상 (한국음악평론가협의회)
∙ 2005   평생교육공로상 수상 (세계타악인예술협회)
 
4. 활동경력 
1) 공연경력
* 타악기 연주 
∙ 1967-1968   아메리칸 윈드심포니 오케스트라 독주 팀파니스트로 선발되어 미국 순회공연
∙ 1969                메네스음악대학 오케스트라 협연
∙ 1969-1973   브리지포드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팀파니스트
∙ 1976                국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협연 (미요 협주곡)
∙ 1984                캐나다 “몬트리올 150주년 페스티벌”참가 (사물놀이 김덕수패 인솔 연주, 강의)
∙ 1981                  한국타악기앙상블을 창단, 정기연주회 
∙ 1981                  한국타악기앙상블 대표로 국내외 현대음악제 참가
∙ 1983                 <타악기 리사이틀> 개최 *한국최초 (세종문화회관 소강당)
∙ 1985                  「범음악제」 독주
∙ 1989                  베르너 야곱과 함께 오르간과 타악기를 위한 ‘시네노미네’협연 (서울, 교토)
∙ 1997                  삶과 꿈 합창단 ‘PAX’ (박동욱 曲)
∙ 1997                  동굴음악제 (제주도 우도)
∙ 1999                  한지 북, 타악기와 대금을 위한 ‘土響’ (박동욱 曲)
∙ 2002                  2인의 타악기주자에 의한 ‘흙의 소리’ 연주 (영은미술관)
∙ 2006                  최종희 타악기 연주회 ‘봄, 그 빛과 소리’연주
∙ 2008                  춤의 길 35년 홍신자의 고도, 고도를 기다리며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2012                    Goodnight Noises Everywhere for Timpani Duo (서울뮤직그룹 착한음악회 시리즈I 어버이날 실내악콘서트, 예술의전당 IBK홀)
∙ 2014                   ‘소리, 빛 그리고 기쁨’(포커스타악기앙상블 박동욱선생 음악인생 60주년기념음악회) 
∙ 2014                    제3회 서울 국제 타악기 페스티벌 ‘박동욱의 밤’ 
* 지휘 
∙ 1969-1973           매네스 타악기 앙상블 창단 및 지휘
∙ 1973-1986           국립교향악단 실내악단 지휘 및 독주
∙ 1976-1978           대만 폴리포니앙상블 지휘
∙ 1975-1995           한국타악기앙상블 지휘
∙ 1985                <범음악제> 지휘 및 독주
∙ 1985                고려교향악단 객원지휘
∙ 1986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객원지휘
∙ 1988                미국 뉴욕 피리 실내악단 지휘(카프만 홀)
∙ 1989                서울교향취주악단 객원지휘
∙ 1990                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지휘
∙ 1990                타악기 페스티벌 마림바앙상블 지휘
∙ 1991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지휘
∙ 1991                전주시립교향악단 지휘
∙ 1992                일본 타악기협회 초청 ‘타악기 페스티벌’참가
∙ 1992                부천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
∙ 1992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
∙ 1993                뉴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지휘
∙ 1994                뉴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지휘
∙ 2000                서울윈드앙상블 지휘
∙ 2002                코스트홀 개관기념연주회 지휘
 
2) 대표작품 목록
∙ 1976   타악기앙상블과 관악합주를 위한「대비」
∙ 1979   타악기앙상블을 위한 「어린이 리듬놀이」 (국립극장 실내악연주회 위촉)
∙ 1979   타악기앙상블을 위한 「마스트Ⅰ」 (충무공음악제 위촉)
∙ 1980   타악기앙상블과 관현악을 위한 「나래`80」
∙ 1980   7사람의 타악기주자를 위한 「원추」 (한국타악인회 위촉)
∙ 1983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리트믹」 (김남윤 위촉)
∙ 1983   소년소녀합창단을 위한 「탈춤」 (서울시립소년소녀합창단 위촉)
∙ 1985   국악기를 위한 「산수」 (1985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위촉)
∙ 1987   관현악을 위한 「가야금」 (U.S.C. 하기음악제 관현악단 위촉)
∙ 1992   국악기를 위한 「소리풀이」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위촉)
∙ 1993   5사람의 타악기주자를 위한 「펜타메터」 (일본 오카다 타악기앙상블 위촉)
∙ 1997   합창과 피아노를 위한 「PAX」 (삶과 꿈 합창단 위촉)
∙ 1998   타악기 앙상블과 관악합주를 위한 「마스트II」 발표 (해군군악대 위촉 )
∙ 1999   북, 타악기, 대금을 위한 「土響」 (한지작가 함섭 전 위촉)
∙ 1999   국악관현악을 위한 「동풍이 건 듯 부니」 (추계예대학교 개교 25주년 기념 위촉)
∙ 1999   동서양 타악기, 여창을 위한 「명선」 (한국창작음악연구회 위촉)
∙ 1999   타악기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나래2000」 (KBS국악관현악단 위촉)
∙ 2000   관악합주를 위한 「나래2000」 (서울윈드심포니 정기연주회 위촉)
∙ 2000   어린이 음악극 「온갖 새들을 부르는 노래」 (대전시 위촉)
∙ 2002   타악기 앙상블을 위한 ‘봄, 여름, 가을, 겨울’ (아카데미 앙상블 위촉)
∙ 2002   국악기와 타악기를 위한 ‘동방의 숨결’ (오리엔탈리카 위촉)
∙ 2002   국악기를 위한 실내악 ‘강가에서’ (국립국악원 위촉)
∙ 2002   벨콰이어와 타악기를 위한 ‘아리랑 판타지’ (평화음악제 위촉)
∙ 2002   1인의 타악기 주자에 의한 ‘나래 2002’ 
∙ 2003   타악기 앙상블과 독주팀파니를 위한 ‘메타포르’ (포커스 타악기 앙상블 위촉)
∙ 2004   관현악을 위한 ‘효천’ (운지회 위촉)
∙ 2005   가야금, 거문고, 대금, 타악기를 위한 ‘반사광’발표 (화음프로젝트 위촉)
∙ 2005   가야금 독주곡 ‘고요 안에 솔잎 밟으며’ 발표 (화음프로젝트 위촉)
∙ 2006   국악관현악단을 위한 ‘취타’ (KBS국악관현악단)
∙ 2006   해금, 생황, 타악기를 위한 ‘삼중협주곡’
∙ 2007   양금독주를 위한 ‘동굴의 반향’
∙ 2007   피리, 양금, 타악기를 위한 ‘갈숲에서’
∙ 2007   성악, 오르간, 타악기 앙상블을 위한 ‘처음 일곱날’ (포커스 타악기 앙상블 위촉)
∙ 2007   독주해금과 생황, 타악기를 위한‘파문’ (노은아 해금독주회)
∙ 2008   ‘비움(空)’ 화음프로젝트 Op.60 (화음챔버오케스트라)
∙ 2008   고도를 기다리며 (춤의 길 35년, 홍신자)
∙ 2009   가야금 사중주 여수 (경기가야금앙상블)
∙ 2009   만남. 헤어짐... 또 다른 시작 (타악 솔리스트 프로젝트 그룹 <타오>)
∙ 2011   인성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경주 용삭사’ (국악창작작품공모 선정작)
∙ 2011   국악관현악 ‘만원 만선’ (KBS국악관현악단)
∙ 2011   현악합주곡 ‘취타’ (국립국악원)
∙ 2011   인성과 피리, 태평소, 가야금, 거문고, 타악기를 위한 ‘소리 밖의 소리’ (국립국악원)
∙ 2013   국악타악 협주곡 ‘록향’ (서울시국악관현악단)
∙ 2014   국악관현악을 위한 ‘한양팔경’ (국립부산국악원)
∙ 2015   ‘천지연’ (박안지 타악독주회)
∙ 2018   양금, 피리, 생황, 타악기와 현악합주를 위한 ‘동굴의 반향 II’ (ASP Symphonia 위촉)
 
3) 구술자 관련 주요 예술사적 사건
∙ 한국전쟁과 해군 군악대 
∙ 아리랑민속예술단과 미국 순회연주 
∙ 미국 메네스 대학에서 타악기 앙상블 
∙ 서울시립교향악단 / 국립교향악단 
∙ 한국타악인회 창설 및 발전 과정 
∙ PASIC(Percussive Arts Society International Convention)타악예술협회세계대회 
∙ 국립교향악단 창립 30주년 기념음악회 / 작품 위촉 
∙ 한국 최초 타악기 독주회 
∙ 한국 최초 타악기 앙상블 곡 <마스트 I> 
∙ 제1회 타악기 여름 학교 (한국타악인회 주최)
∙ 한국 최초 타악기 경연대회 
Percussive Notes Vol. 38, No1 Feb. 2000
∙ 『세계 타악기 연주자 인명사전』, 『예술가의 육성녹음 자서전』 
∙ 2014 제3회 서울국제타악기페스티벌 ‘박동욱의 밤’ 
 
5. 구술자 저작물 (단행본/논문/전시도록/신문·잡지 기고 등)
논문
∙ <한국 타악기 음악의 발자취와 전망> 2006, 국제 타악기 학술 세미나
정간물 및 일간지 기사
Percussive Notes Vol. 38, No1 Feb.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