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가 컬렉션

정회갑 (鄭回甲, CHUNG Hoe-gap)

출생년도
1923년
작고년도
2013년
수정일
2022-01-17 14:02:06

주요약력

◈ 수련과정 ◈
1946년~1948년 경성음악전문학교(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수학
1951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사 학위 취득
  
◈ 활동경력 ◈
1947년~1948년 고려교향악단(현 서울시립교향악단) 호른 주자 
1951년~1953년경 전주남중학교 교사 재직
1954년~1960년 수도여자고등학교 교사 재직
1961년~1989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강사 및 교수 지냄
1973년~1975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교환 교수 지냄
1976년~1988년 미래악회 회장 지냄
1985년~1987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 지냄
1989년~1994년 한국음악협회 이사장 지냄
1999년~2003년 대한민국예술원 부회장 지냄
1970년 제2회 서울음악제((사)한국음악협회 주최)에서 관현악조곡 <한국무곡> 위촉연주
1975년 제7회 서울음악제에서 인성과 다섯 개의 악기를 위한 <시나위> 위촉연주
1982년 제14회 서울음악제에서 <백연> 연주
1985년 제17회 서울음악제에서 <그리움> 연주
2002년 제34회 서울창작음악제에서 가곡 <돼지 뒷다리를 잘 부뜰어 잡은 처녀 땡감> 위촉연주
  
◈ 수상경력 ◈
1962년 제11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음악부문 수상
1982년 제14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음악부문 대통령상 수상
1989년 국민훈장모란장 수훈
1990년 제35회 대한민국예술원상(대한민국예술원 주최) 음악부문 수상
1995년 제9회 예총예술문화상(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주최) 음악부문 예술문화대상 수상
1996년 보관문화훈장 수훈
  
◈ 대표저서 ◈
정회갑 채보. 『京畿道農樂譜, 1965-66年』. 한국: 발행처불명, 발행년불명.
정회갑 채보. 『全羅北道 農樂譜』. 한국: 발행처불명, 발행년불명.
정회갑, 박중후, 백병동. 『현대 음악 분석』. 서울: 수문당, 1975.
정회갑, 박중후, 백병동. 『현대 음악 해설』. 서울: 수문당, 1979.
정회갑, 조인선, 진규영. 『한국 현대 작곡가 I집』. 서울: 예당출판사, 1992.
정회갑. "韓國에서의 洋樂作曲技法의 變遷研究 : 聲樂曲을 中心으로." 발행처불명(1987): 133-196.
정회갑. 『(大學院 敎材를 爲한)現代音樂分析法』. 서울: 서울대학교, 1981.
정회갑. 『敎授任用關係 著述集 : 서울大學校 1 : 歌曲의 밤, 外1篇』. 서울: 서울대학교, 1981.
정회갑. 『나의 作品世界』. 서울: 수문당, 2002.
정회갑. 『洋樂創作 四十年史 : 1945年부터 1980年代初까지』. 서울: 수문당, 1985.
정회갑. 『現代音樂分析槪要』. 서울: 수문당, 1984.
  
[음악 교과서]
정회갑, 김성남. 『(인문계 고등학교) 새음악Ⅰ』.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68.
정회갑, 김성남. 『고등학교용 음악』.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67.
정회갑, 김성남. 『고등학교용 음악』.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67.
정회갑, 김성남. 『중학생의 음악 1』. 서울: 현대음악출판, 1969.
정회갑, 김성남. 『중학생의 음악 2』. 서울: 현대음악출판, 1966.
정회갑, 김성남. 『중학생의 음악 3』. 서울: 현대음악출판, 1966.
정회갑, 이해식. 『(고등학교) 음악』. 서울: 교학사, 1988.

작품목록

1947년 가곡 <진달래꽃>(김소월 시)
1948년 현악4중주 1번
1952년 가곡 <음삼월(陰三月)>(구름재 시)
1952년 바이올린 소곡
1953년 가곡 <먼 후일>(김소월 시)
1955년 영화음악 <피아골>
1956년 영화음악 <격퇴>
1957년 교향곡 1번
1957년 영화음악 <사랑>
1958년 영화음악 <생명>
1958년 영화음악 <종말없는 비극>
1959년 영화음악 <젊은 아내>
1960년 가곡 <입맞춤>(서정주 시)
1961년 영화음악 <나그네>
1961년 영화음악 <두고온 산하(山河)>
1961년 합창곡 <구원(久遠)의 4월>
1961년경 가야고와 관현악을 위한 주제와 변주곡
1962년 영화음악 <무정>
1963년 두 대의 가야고를 위한 소품
1964년 가야고 소곡
1966년 영화음악 <남북천리>
1967년경 피아노 조곡 <한국무곡>
1969년 가곡 <후이 후이 후이>(김용호 시)
1970년 관현합주곡 <Noisy Poem for Brass>
1971년 가곡 <작은 풍경>(신석정 시)
1972년 가곡 <밈드레 꽃>(서정주 시)
1972년경 가곡 <네 눈망울에서는>(신석정 시)
1974년 <스케치>(바이올린, 피아노)
1974년 <시나위 아리리요>(인성, 5대 악기)
1976년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조곡
1976년 실내악곡 <소리-가장행렬>
1978년 <산책(散策)>(더블베이스, 5인 주자)
1979년 가곡 <출범의 노래>(김해강 시)
1981년 <기담(奇譯)>(더블베이스, 5인 주자)
1982년 가곡 <백력(白蓮)>(구상 시)
1985년 가곡 <그리움>(유치환 시)
1992년 실내악곡 <살아난 녹두장군(錄豆將軍)>(序編)
1996년 <아낙네들의 말다툼>(여성합창)
1999년 오페라 <산불>
2002년 가곡 <돼지 뒷다리를 잘 부뜰어 잡은 처녀>(서정주 시)
2002년 가곡 <땡감>(서정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