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음악

너븐숭이

작곡가
장태평
작품연도
2019년
카테고리
국악 - 기악

작품해설

"제주도 북촌마을 인근 ‘너븐숭이’. ‘넓은 쉼터’라는 뜻을 가진 곳이다.
‘너븐숭이’에는 곳곳에 핀 수선화와 함께 ‘애기돌무덤’이 있다. 제주 4.3사건 북촌리 주민 학살 때, 어른들의 시신은 살아남은 사람들에 의해 다른 곳에 안장되었으나 어린아이들의 시신은 임시 매장한 상태 그대로 지금까지 남아있다. 20여기의 애기무덤이 모여 있는데 적어도 8기 이상은 북촌대학살 때 희생된 어린아이의 무덤이다.
돌무덤 주변의 수선화가 바닷바람에 흔들리고 무덤 맡에는 인형과 장난감들이 놓여있다. 끔찍하고 처참한 역사의 현장에서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주저앉아 고개를 들 수 없었다. 1949년 1월 17일, 북촌교 인근 밭에서 총살당한 이기복자(여, 2세)에게 이 곡을 바친다.
‘너븐숭이’는 작곡가가 제주4.3사건 유적지를 돌아보며 느낀 감정을 바탕으로 작곡한 작품이며 구성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뉜다.‘수선화의 노래’, ‘흔들리는 섬’, ‘무당자장가’, ‘거대한 감옥’, ‘붉은 섬’, ‘애기돌무덤 앞에서’의 표제가 붙으며 서사적 묘사와 동시에 희생당한 어린 영혼을 위한 자장가를 담아내어 진혼의 성격을 띠고 있다. 작품의 선율은 제주 무당자장가와 애기돌무덤 앞에서 떠오른 선율의 단편을 변주하여 작품 전반에 교차시키고 있으며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자진중판, 자진석, 군채가락을 변주하여 구성하였다.

“바다로 둘러싸여 고립된 섬 제주도는 거대한 감옥이자 학살터였다.”
-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

감상포인트

거대한 감옥과도 같았던 해방공간 제주의 이야기와 희생당한 어린 영혼을 잠시 마음에 담아주세요.

연주정보

연주일
2024. 2. 19
연주장소
롯데콘서트홀
연주
국립국악관현악단
지휘
김성국
행사명
제15회 ARKO 한국창작음악제
행사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행사주관
ARKO한국창작음악제 추진위원회

멀티미디어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