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음악

세개의 오보에와 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

작곡가
백병동
작품연도
1974년
카테고리
양악 - 기악 - 협주 - 합주협주

작품해설

죽음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생각한 작품이다. 죽음의 문제가 내 심상에 파문을 던진 것은 대학시절 절친했던 송해섭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이미 6남매였던 내 형제자매 중 절반을 어린 시절에 저승으로 보냈으니 은연중 죽음에 대한 문제는 내 마음속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비중있게 자리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송해섭의 죽음은 많은 숙제를 나에게 주었고 결과적으로 “송해섭의 주제에 의한 7개의 변주곡”, “서정주에 의한 파라프레이즈”를 낳게 했다. 송해섭 다음으로 다가온 죽음은 생전에 친교가 두터웠던 시인 신동엽의 죽음이었다. 신동엽과는 오페레타 “석가탑”을 같이 만들었고 오페라 “아사녀”를 막 손대기 시작할 무렵, 지병인 위암으로 세상을 뜨고만 것이다. 69년의 일이다. 삶이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새삼 생각하게 하는 시간이었다. 이때의 심정을 세 개의 오보에로 스케치해 두었다. 영혼들의 울부짖음이 그려져 있다.
그로부터 몇 년 뒤 어머님에게 인후암의 진단이 내려졌다. 소생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아버님은 이미 65년에 간경화로 세상을 뜨신 뒤였다. 이때부터 또 다시 죽음이라는 문제와 맞닥뜨려야 했다.
“3개의 오보와 관현악을 위한 진혼”은 이런 심정에서 만들어졌다. 3개의 오보에 파트는 신동엽 때의 스케치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이 곡은 74년에 초연되었고 2년 뒤인 76년에 결국 어머님도 세상을 뜨셨다.

(백병동 관현악 작품 (음반)- 백병동)

작품해설(영문)

This piece is neither a requiem mass nor a lamentation for a particular person, but music of consolation for all mankind, as B. A. Zimmermann’s Requiem für einen jungen Dichter and P. Hindemith’s A Requiem for those we love are, implying ‘prayer and invocation for alienated human beings and poor-hearted souls.’ Composed in 1975 for a commission from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the direct ideas of this work came from the deaths of his mother and close friend Shin, Dong-Yup, the poet. Three oboes represent the wails of the souls of his mother, Shin, and the composer himself. Beyond invocation of the spirits of the dead, this piece paradoxically sublimates a negative recognition of the realities such as alienation, rupture, and anxiety to sympathy, love and earnest wishes.

(Jun, Sang-Jick (Composer, Lecturer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 Translated by Seo, Jeong-Eun (Lecturer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초연정보

초연일
1974. .

멀티미디어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