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895.12.17. 서울 출생
1915. 경신학교(儆新學校) 졸업
1918.6.22. 신문자료상 최초로 그의 작품 <김운양 자작의 초상> 게재
1918. ‘서화미술회(書畫美術會)’ 수료. 동양화, 인물화, 사진영상식 수법, ‘전이모사(轉移模寫)’ 기법 체득
1920.11 심묘(心畝) 김창환(金彰桓)을 중심으로 조직된 예성회(藝星會)에서 화가로 활동
1922. 『백조』동인으로 참여, 『백조』2호 표지 제작
1925. 토월회 배경주임
1920년대 후반 인천에서 활동. 칠면구락부, 조선소년척후대 행사 등에 관여
1927. 극단 산유화회 창단공연 <향토심(鄕土心)>(홍사용 작·연출) 장치
1929.11 토월회의 <아리랑 고개>(박승희 작, 박진 연출) 장치
1930.10 신흥극장 발기인
1931.01 연극시장 발기인
1932. 조선극장 선전부와 장치부 책임자 역임
1935. 청춘좌 <춘향전>,(박진 연출) 장치
1936. 동양극장 장치부장
1942.02 동양극장 <삼국지>(운방 각색, 연출 박진) 무대 장치
1951. 국방부 종군극작가단 무대미술부 책임자
1954. 환도 후 제작소를 설치하여 무대장치제작
1966. 한국연극연구소(드라마센터), ‘1966 한국연극상 수상
1970.10.17. 작고
1923.9 부활(카츄샤), 토월회 1923.9 알트 하이델베르크, 토월회 1925.4 회상하든 날 밤, 토월회 1929.11 아리랑, 토월회 1930.11 모란등기, 신흥극장 1930.11 벚꽃동산, 신흥극장 1931.2 지옥(<태양의 거리>의 자매편), 연극시장 1931.12 밋친놈(1막), 중외극장 1931.12 신혼여행(전 1막 3장), 중외극장 1932.12 만주의 지붕밋(전 1막), 문외극단 1933.5 개화전야(전 2막), 조선연극사 1933.5 파는 집(전 1막), 조선연극사 1933.10 마샤-의 무덤(전 1막), 서울무대 1933.11 암흑(전 2막), 신무대 1936.2 추풍감별곡, 청춘좌 1936.8 名妓 황진이, 청춘좌 1937.5~6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호화선(원우전, 김운선 장치) 1939.9 청춘극장, 아랑 1940.1 그들의 일생(일명 과부), 아랑 1940.1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극단 아랑 1940.2 결혼조건, 극단 아랑 1940.4 김옥균, 극단 아랑 1940.5 아버지와 그 아들(검사와 사형수), 아랑 1940.10 바람부는 시절, 아랑 1941.1 인생설계, 아랑 1941.5 동학당, 아랑 1941.12~1942.1 이차돈, 성군(원우전, 김운선 장치) 1942.1~2 아편전쟁, 성군 1942.3~4 모계가족, 성군 1942.4 수호지, 성군 1942.6 2貞烈夫人, 청춘좌 1942.7 올빼미 우는 밤, 청춘좌 1942.8~9 버들피리, 성군 1942.9 춘향전, 청춘좌 1942.10 제비오는 집, 청춘좌 1942.11 과수원의 전설, 성군 1943.1 산풍, 청춘좌 1943.2 순애보, 성군 1943.2 시베리아 菊姬, 성군 1943.3 콩쥐팥쥐, 청춘좌 1943.9 海風, 청춘좌 1943.9~10 북경야화, 성군 1943.11 역마차, 성군 1943.11~12 화륜선, 청춘좌 1944.2 안해, 성군 1944.8~9 진주탑, 청춘좌 1944.11 靑 春驛, 성군 1944.11 새동무, 청춘좌 1944.12~145.1 백진주와 전원교향악, 성군 1945.1 안개낀 거리, 청춘좌 1945.3~4 靑春擊壤, 성군 1953.2 야화, 국립극장 출처 고설봉 증언, 『증언연극사』, 서울: 진양, 1990. 김남석, 「최초의 무대미술가 원우전」, 『인천학 연구』 7호, 2007. 남해국제탈공연예술촌 ‘한국의 무대미술’ 전시 자료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