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촌(富村)!
- 작가명
-
채만식
/ 대한민국
- 창작년도
- 1932년
- 작품구성
- 단막, 대화소설(對話小說)
- 작품보기
- PDF 뷰어
줄거리
사음(舍音)은 지주를 대신해 소작권을 관리하는 사람이다. 사음이 소작료를 받기 위해 전서방, 박서방, 이서방, 최서방의 집으로 간다. 하지만 서방들은 죄다 없고 아내들만 집에 있다. 사음은 아내들에게 소작료를 내라고 독촉하지만 하나같이 낼 돈이 없다고 한다. 사음은 소작료를 내지 않으면 이듬해엔 땅을 빌려주지 않겠다고 협박하나, 모두 밑지는 농사는 짓고 싶지도 않다며 그의 말을 무시한다. 사음은 지주에게 돌아가 상황을 이야기하지만 지주는 소작료를 받는 게 사음의 일이라며 신경도 쓰지 않는다. 한편 면사무소에 간 전서방, 금융조합에 간 박서방, 비료회사에 간 이서방, 학교에 간 최서방은 하나같이 빚 독촉에 시달린다. 재산을 차압할 것이라는 협박을 받아도 어느 하나 이를 갚을 능력이 없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만난 네 사람은 집단행동을 하기로 맘을 모은다. ‘도(道)에서온사람’은 음력 섣달그믐에도 아직까지 타작하지 않은 벼를 보곤 부촌(富村)이라 감탄한다.
작품해설
채만식은 <부촌>의 작자부언에서 “그런데 소설도 아니요, 희곡도 아니요, 시나리오도 물론 아니요, 라디오드라마……라고 하기 어려운 이것을 나 역시 무어라고 이름 지었으면 좋을지 모른다.”라고 밝히고 있다. 덧붙여 그는 “또 한 가지 재료에 있어서 소설이나 희곡으로써 장만해내기는 부적당하면서”라며 작품의 장르를 정함에 어려움을 겪었음을 알 수 있다. 작가는 이러한 고민을 담아 작품의 장르를 ‘대화소설’이라고 정하였다. 즉 소설이나 희곡이라는 어느 한 장르를 통하기보다 이 둘의 적당한 합의점을 찾아 주제의식을 전달하고자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부촌>에서는 1~4장, 6~9장이 동일 구조로 반복되어 나타난다. 전자는 사음의 소작료 독촉과 더불어 타작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고, 후자에서 빚을 독촉하는 여러 기관에 대한 거부가 담겨 있다. 각각의 상황이 조금씩 다르지만, 그 대사와 행동은 한결같다. 이는 당시 농민들이 겪었던 가난과 불행이 개인의 잘못이 아닌 구조적 모순으로 비롯되었음을 암시한다. 농민들은 결국 자신들이 아니면 지주, 금융조합, 학교가 유지될 수 없다는 데 뜻을 같이 하고 집단행동으로 위기에 대처하기로 한다. 농민들의 집단행동으로 타작하지 않은 벼들이 집집마다 쌓여있는 것도 모르고 이 마을이 부촌이랍시고 감탄하는 ‘도(道)에서온사람’의 모습을 통해 채만식은 농촌 현실을 역설적으로 풍자하고 있다.